맨위로가기

리그컵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컵 (대한민국)은 1992년부터 2011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프로 축구 컵 대회이다. 아디다스컵으로 시작하여, 삼성 하우젠 컵, 포스코컵, 러시앤캐시컵 등 스폰서의 이름을 따 대회명이 변경되었다. 1986년 프로축구 선수권 대회를 포함하며, 풀 리그, 조별 리그, 토너먼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울산 HD, 수원 삼성, 성남 FC, FC 서울 등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신욱, 데얀 다먀노비치, 김현석 등이 득점왕을 기록했다. 2013년 2부 리그 도입으로 K리그컵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VIVA 월드컵
    VIVA 월드컵은 FIFA에 가입하지 못한 국가, 민족, 지역의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NF-보드가 주관하며 넬슨 만델라 트로피가 수여된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축구 대회 - 전조선축구대회
    전조선축구대회는 조선체육회와 조선축구협회가 주최하여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열린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 대회로, 한국 근대 축구의 시작을 알리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축구 대회 - 슈퍼컵 (대한민국)
    슈퍼컵 (대한민국)은 1999년부터 2006년까지 K리그와 FA컵 우승팀 간의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였으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최다 우승 구단이다.
리그컵 (대한민국)
기본 정보
주최K리그 연맹
창립 연도1992년
폐지 연도2012년
지역대한민국
최다 우승 팀수원 삼성 블루윙즈 (6회)
역사
마지막 우승 팀울산 현대 (2011)
컵 대회 우승 팀 자격'팬퍼시픽대회 출전권' 획득
K리그 변화스플릿 시스템 도입 및 리그컵 폐지 (2012년부터)

2. 역사

1992년에 아디다스의 협찬을 받아 "'''아디다스컵'''"(아디다스컵한국어)으로 시작했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아디다스컵 외에 리그컵 대회가 하나 더 개최되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삼성전자의 백색 가전 브랜드 "하우젠"의 이름을 사용했다. 2009년에는 스폰서 찾기에 난항을 겪어 결국 한국 프로 축구 연맹 회장인 곽정환이 위원장을 맡는 피스컵 조직위원회가 협찬하게 되었다[2].

2010년에는 포스코의 협찬을 받아 "'''포스코컵'''"(포스코컵한국어)이 공식 대회명이 되었다[3]. 2011년에는 소비자 금융을 운영하는 A&P 파이낸셜이 타이틀 스폰서가 되어 "'''러시앤캐시컵'''"으로 진행되었다.

K리그가 아직 프로·아마추어 팀의 혼성이었던 1986년에 아마추어를 제외한 5개 클럽이 참가하여 개최된 '''프로 축구 선수권 대회'''(프로축구선수권대회한국어)도 리그컵의 역사에 포함된다[4]. 2011년 10월, 한국 프로 축구 연맹은 2013년부터 도입될 2부 리그제로의 이행 방안으로,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채택된 "스플릿 시스템"을 리그전에 일시적으로 도입하고 총 경기 수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K리그컵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5].

2. 1. 프로축구선수권대회 (1986년)

1986년 K리그 출범 이후 처음으로 프로 구단들만 참가하는 프로축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멕시코 월드컵 본선(5월 31일~6월 29일) 기간과 겹치고, 무더운 여름철에 지방 도시 위주로 경기가 진행되어 흥행에 실패했다. 경기 내용도 프로 수준에 미치지 못해 팬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2. 리그컵 (1992년–2011년)

1992년, 제우교역(주)이 수입하던 아디다스의 후원으로 '아디다스컵'이 시작되었다.[9] 1995년까지는 아디다스컵과 아디다스배라는 대회명칭이 혼용되었으며,[9] 1996년부터 2003년까지는 '아디다스컵'이라는 명칭을, 1998년에는 일시적으로 '아디다스코리아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10]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삼성전자가 자사의 가전제품 브랜드 하우젠을 홍보하기 위해 리그컵 대회의 스폰서가 되면서 '삼성 하우젠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07년부터는 유럽의 축구 리그 컵 대회처럼 정규리그가 열리는 기간 중 주중(수요일) 경기로 열렸으며, 우승 팀에게는 1억 원과 트로피(준우승 팀은 5천만 원과 트로피)가 주어졌다.

삼성전자와 계약 연장이 불발되며 스폰서 없이 치러질 뻔했던 2009년 리그컵 대회는, 개막 하루 전인 3월 24일 피스컵 조직위원회(선문평화축구재단)와 12억 원 규모의 후원 계약을 맺고 '피스컵 코리아 2009'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1] AFC 챔피언스리그가 확대되어 4개 팀이 참가하게 되면서, 챔피언스리그 참가 4개 팀이 8강전에 먼저 진출해 각 조 1,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갖는 형태로 대회 방식이 변경되었다.

2010년 리그컵은 포스코의 후원으로 '포스코컵 2010'이라는 이름으로 열렸다.[12][13][3]

2011년 대회는 러시앤캐시라는 대출 브랜드로 유명한 대부금융업체 A&P 파이낸셜의 후원으로 '러시앤캐시컵 2011'이라는 이름으로 열렸다.[14]

2011년 10월,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013년부터 도입될 2부 리그제로의 이행 방안으로,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채택된 "스플릿 시스템"을 리그전에 일시적으로 도입하고 총 경기 수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K리그컵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5]

3. 대회 방식

리그컵은 대부분 풀 리그 방식 또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스테이지를 결합한 복수 스테이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99년과 2000년 아디다스컵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10년 포스코컵은 15개 팀을 5팀씩 3개 조로 나누어 조별 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상위 2팀과 각 조 3위 중 성적 상위 2팀, 총 8팀이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결정했다.

연도풀 리그조별 리그 +
토너먼트
토너먼트
1992아디다스
1993아디다스
1994아디다스
1995아디다스
1996아디다스
1997아디다스프로스펙
1998필립모리스아디다스
1999대한화재아디다스
2000대한화재아디다스
2001아디다스
2002아디다스
2003
2004삼성 하우젠
2005삼성 하우젠
2006삼성 하우젠
2007삼성 하우젠
2008삼성 하우젠
2009피스컵
2010포스코


4. 역대 스폰서

스폰서시즌대회
정규 컵
아디다스1992–2002아디다스컵
삼성전자2004–2008삼성 하우젠 컵
통일교2009피스컵 코리아
포스코2010포스코컵
A&P 파이낸셜2011러시앤캐시컵
보조 컵
LS네트웍스1997프로스펙스컵
필립 모리스 코리아1998필립 모리스 코리아컵
대한화재해상보험1999–2000대한화재해상보험컵


5. 우승

라데 (포항 제철) 조준현 (유공)1995아디다스 컵현대 호랑이일화 천마 김현석 (현대) 윤정환 (유공)1996아디다스 컵부천 유공포항 아톰즈 이원식 (부천) 윤정환 (부천)1997아디다스 컵부산 대우 로얄즈전남 드래곤즈 서정원 (안양) 고종수 (수원)프로스펙스 컵부산 대우 로얄즈포항 스틸러스 마니치 (부산) 올레그 (안양)1998아디다스 컵울산 현대 호랑이부천 SK 김현석 (울산) 장철민 (울산)필립 모리스 코리아컵부산 대우 로얄즈부천 SK 김종건 (울산) 윤정환 (부천)1999대한화재 컵수원 삼성 블루윙즈부산 대우 로얄즈 김종건 (울산) 조성환 (부천)아디다스 컵수원 삼성 블루윙즈안양 LG 치타스 데니스 (수원) 데니스 (수원)2000대한화재 컵부천 SK전남 드래곤즈 이원식 (부천) 전경준 (부천)아디다스 컵수원 삼성 블루윙즈성남 일화 천마 고종수 (수원) 데니스 (수원)2001아디다스 컵수원 삼성 블루윙즈부산 아이콘스 김도훈 (전북) 마니치 (부산)2002아디다스 컵성남 일화 천마울산 현대 호랑이 샤샤 (성남) 안드레 (안양)2003미개최2004삼성 하우젠 컵성남 일화 천마대전 시티즌 제칼로 (울산) 타바레즈 (포항)2005삼성 하우젠 컵수원 삼성 블루윙즈울산 현대 호랑이 산드로 (대구) 세자르 (전북)2006삼성 하우젠 컵FC 서울성남 일화 천마 최성국 (울산) 두두 (성남)2007삼성 하우젠 컵울산 현대 호랑이FC 서울 루이지뉴 (대구) 이청용 (서울)2008삼성 하우젠 컵수원 삼성 블루윙즈전남 드래곤즈 에니뉴 (대구) 변성환 (제주)2009피스컵 코리아포항 스틸러스부산 아이파크 류창현 (포항) 조철호 (포항)2010포스코컵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 데얀 장남석 (대구)2011러시앤캐시컵울산 현대부산 아이파크 김신욱 (울산) 최재수 (울산)


5. 1. 시즌별 우승 구단

1986년 현대 호랑이가 프로축구 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것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리그컵 대회가 시작되었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1992년 일화 천마가 아디다스컵에서 우승한 이후, 1993년 포항제철 아톰즈, 1994년 유공 코끼리, 1995년 현대 호랑이, 1996년 부천 유공이 아디다스컵에서 각각 우승하였다.

1997년에는 부산 대우 로얄즈가 아디다스컵과 프로스펙스컵에서 모두 우승하였다. 1998년에는 울산 현대 호랑이가 아디다스 코리아컵에서, 부산 대우 로얄즈가 필립모리스 코리아컵에서 우승하였다. 1999년에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대한화재컵과 아디다스컵에서 모두 우승하였다.

2000년에는 부천 SK가 대한화재컵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아디다스컵에서 우승하였다. 2001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아디다스컵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하였고, 2002년에는 성남 일화 천마가 아디다스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2003년에는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

2004년과 2005년에는 성남 일화 천마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각각 삼성 하우젠 컵에서 우승하였다. 2006년 FC 서울이 삼성 하우젠 컵에서 우승한 후, 2007년 울산 현대 호랑이, 2008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삼성 하우젠 컵에서 우승하였다.

2009년 포항 스틸러스가 피스컵 코리아에서 우승한 후, 2010년 FC 서울이 포스코컵에서, 2011년 울산 현대가 러시앤캐시컵에서 우승하였다.

5. 2. 구단별 우승 횟수

K리그의 공식 통계 원칙에 따라, 리그컵의 구단별 우승 횟수는 최종 클럽이 전신 클럽의 역사와 기록을 승계하는 방식으로 정리된다.[1]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수원 삼성 블루윙즈601999, 1999, 2000, 2001, 2005, 2008
울산 HD531986, 1995, 1998, 2007, 20111993, 2002, 2005
부산 아이파크351997, 1997프, 1998필1986, 1999대, 2001, 2009, 2011
성남 일화 천마331992, 2002, 20041995, 2000, 2006
제주 유나이티드321994, 1996, 2000대1998, 1998필
FC 서울242006, 20101992, 1994, 1999, 2007
포항 스틸러스221993, 20091996, 1997프
전남 드래곤즈031997, 2000대, 2008
대전 시티즌012004
전북 현대 모터스012010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리그컵이 두 개씩 존재했기 때문에, 각각 아디다스컵(A), 프로스펙스컵(P), 필립모리스코리아컵(F), 대한화재컵(D)의 머리글자로 구분한다.

5. 3. 연고지별 우승 횟수

한국 프로축구 K리그에 실질적으로 공식 지역 연고제가 시행된 1987시즌부터의 연고지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1987년 K리그는 홈 앤 어웨이 시스템을 도입했다.

연고지횟수구단
6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9, 1999대, 2000, 2001, 2005, 2008)
4
일화 천마 (1992)
유공 코끼리 (1994)
FC 서울 (2006, 2010)
4
현대 호랑이 (1995), 울산 현대 호랑이 (1998, 2007, 2011)
3
부산 대우 로얄즈 (1997, 1997프, 1998필)
2
부천 유공 (1996), 부천 SK (2000대)
2
성남 일화 천마 (2002, 2004)
2
포항제철 아톰즈 (1993), 포항 스틸러스 (2009)


5. 4. 지역별 우승 횟수

K리그에 실질적으로 공식 지역 연고제가 시행된 1987시즌부터의 연고지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지역횟수연고지구단
수도권14(6) 수원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9, 1999대, 2000, 2001, 2005, 2008)
(4) 서울일화 천마 (1992)
유공 코끼리 (1994)
FC 서울 (2006, 2010)
(2) 부천부천 유공(1996), 부천 SK (2000대)
(2) 성남성남 일화 천마 (2002, 2004)
경상권9(4) 울산현대 호랑이 (1995), 울산 현대 호랑이 (1998, 2007, 2011)
(3) 부산부산 대우 로얄즈(1997, 1997프, 1998필)
(2) 포항포항제철 아톰즈 (1993), 포항 스틸러스 (2009)
전라권0
충청권0
강원권0
제주권0


6. 개인 수상

6. 1. 최우수선수상

wikitable

시즌선수클럽
1986 최강희현대 호랑이


6. 2. 득점왕

1986년 함현기(현대 호랑이)가 9골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2011년 김신욱(울산 현대)이 11골을 기록할 때까지 많은 선수들이 리그컵 득점왕을 차지했다. 1998년에는 김현석이 11골로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2002년에는 사샤 드라쿨리치(성남 일화 천마)가 10골을 기록하며 외국인 선수로는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시즌선수클럽출장비율
1986 함현기현대 호랑이9150.60
1992 노수진유공 코끼리560.83
1993 최문식포항 아톰즈321.50
1994 임재선현대 호랑이
1995 김현석현대 호랑이670.86
1996 이원식부천 유공560.83
1997 서정원안양 LG 치타스890.89
1997+ 라디보예 마니치부산 대우 로얄즈670.86
1998 김현석울산 현대 호랑이11101.10
1998+ 김종건울산 현대 호랑이790.78
1999+ 김종건울산 현대 호랑이680.75
1999 데니스 락티오노프수원 삼성 블루윙즈331.00
2000+ 이원식부천 SK6100.60
2000 고종수수원 삼성 블루윙즈221.00
2001 김도훈전북 현대 모터스790.78
2002 사샤 드라쿨리치성남 일화 천마10110.91
2004 제 카를루스울산 현대 호랑이771.00
2005 산드로 히로시대구 FC7120.58
2006 최성국울산 현대 호랑이8130.62
2007 루이징요대구 FC790.78
2008 에닝요대구 FC981.13
2009 유창현포항 스틸러스450.80
2010 데얀 담야노비치FC 서울670.86
2011 김신욱울산 현대1181.38


6. 3. 도움왕

}

| 현대 호랑이

| align=center|4

| align=center|12

| align=center|0.33

|-

| align="center"|1992

|

| 포항 아톰즈

| align=center|3

| align=center|6

| align=center|0.50

|-

| align="center"|1993

|

| 대우 로얄즈

| align=center|2

| align=center|5

| align=center|0.40

|-

| align="center"|1994

|

| 유공 코끼리

| align=center|4

| align=center|5

| align=center|0.80

|-

| align="center"|1995

|

| 유공 코끼리

| align=center|3

| align=center|5

| align=center|0.60

|-

| align="center"|1996

|

| 부천 유공

| align=center|3

| align=center|7

| align=center|0.43

|-

| align="center"|1997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align=center|4

| align=center|8

| align=center|0.50

|-

| align="center"|1997+

|

| 안양 LG 치타스

| align=center|5

| align=center|7

| align=center|0.71

|-

| align="center"|1998

|

| 울산 현대 호랑이

| align=center|3

| align=center|9

| align=center|0.33

|-

| align="center"|1998+

|

| 부천 SK

| align=center|4

| align=center|8

| align=center|0.50

|-

| align="center"|1999+

|

| 부천 SK

| align=center|4

| align=center|8

| align=center|0.50

|-

| align="center"|1999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align=center|3

| align=center|3

| align=center|1.00

|-

| align="center"|2000+

|

| 부천 SK

| align=center|4

| align=center|9

| align=center|0.44

|-

| align="center"|2000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align=center|4

| align=center|3

| align=center|1.33

|-

| align="center"|2001

|

| 부산 아이콘스

| align=center|5

| align=center|11

| align=center|0.45

|-

| align="center"|2002

|

| 안양 LG 치타스

| align=center|4

| align=center|9

| align=center|0.44

|-

| align="center"|2004

|

| 포항 스틸러스

| align=center|5

| align=center|11

| align=center|0.45

|-

| align="center"|2005

|

| 전북 현대 모터스

| align=center|5

| align=center|9

| align=center|0.56

|-

| align="center"|2006

|

| 성남 일화 천마

| align=center|5

| align=center|9

| align=center|0.56

|-

| align="center"|2007

|

| FC 서울

| align=center|5

| align=center|8

| align=center|0.63

|-

| align="center"|2008

|

| 제주 유나이티드

| align=center|3

| align=center|9

| align=center|0.33

|-

| align="center"|2009

|

| 포항 스틸러스

| align=center|3

| align=center|4

| align=center|0.75

|-

| align="center"|2010

|

| 대구 FC

| align=center|4

| align=center|5

| align=center|0.80

|-

| align="center"|2011

|

| 울산 현대

| align=center|4

| align=center|6

| align=center|0.67

|-

|}

참조

[1] 뉴스 The Official K League Annual Report K League editorial division
[2] 웹사이트 [시선집중] 25일 개막하는 리그컵의 모든것 http://www.sportsseo[...] 2010-12-21
[3] 웹사이트 <프로축구> 리그컵대회 타이틀스폰서에 포스코 http://news.naver.co[...] 2010-12-21
[4] 문서 한국 프로축구 리그컵 역대성적
[5] 웹사이트 【Kリーグ】2012年からスプリット・システム導入、カップ戦は廃止に http://www.kfa.or.kr[...] 2011-10-05
[6] 뉴스 수원, 컵대회 우승 팀 자격 '팬퍼시픽대회 출전권' 획득 http://sports.media.[...] 뉴시스 2008-11-11
[7] 뉴스 K리그 2010년 공식 연혁 http://www.kleague.c[...] K리그 공식 웹사이트 2012-04-15
[8] 뉴스 K리그, 2012년부터 '대변화'…스플릿 시스템 도입•리그컵 폐지 http://sports.media.[...] 스포탈코리아 2011-10-05
[9] 뉴스 주요 우승 트로피 성남 일화 20년사 2009
[10] 저널 아디다스리그 결산
[11] 뉴스 프로축구 리그컵, 명칭 논란 속 25일 개막 http://www.sportsseo[...] 스포츠서울 2009-03-24
[12] 뉴스 <프로축구> 리그컵대회 타이틀스폰서에 포스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5-13
[13] 뉴스 포스코, K리그 '포스코컵 2010' 타이틀 스폰서로 결정 https://news.naver.c[...] 엑스포츠뉴스 2010-05-13
[14] 뉴스 프로축구연맹 러시앤캐시 리그컵 유치 성공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1-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시즌선수클럽도움출장비율
1986{{llang|ko|천영수|}